본문 바로가기

Data Science47

동경대 합격생 노트의 특징 큰 헤드라인에 오는 글자 줄은 가지런히 맞추어 쓴다. 표제어는 가장 왼쪽에 쓰고, 그 밑에 소단원이나 내용들은 3~4칸 띄우고 쓴다. 필기할 필요가 없으면 카피한다. 무작정 필기하지 말고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은 카피하여 정리한다. 대담하게 여백은 남긴다. 여백은 복습때 부족한 부분을 채워 쓸 수 있다. 인덱스를 사용한다. 오른쪽이나 윗쪽에 타이틀은 붙인다. 첫페이지에 목차를 써두면 좋다. 단락의 구분을 확실히 한다. 자신만의 노트 서식을 가진다. 사용하기 편한 형식을 가지도록 하자. 깔끔하게 쓴다. 글씨의 굵기는 일정하게 글씨체도 동일하게 쓴다. 요즘들어 부쩍이나 필기를 잘 안하게 되는데, 슬슬 개발노트도 컴퓨터가 아닌 수기로 해볼까나 ... ㅋ 여백을 남기라고 하는데에 가장 많이 관심이 간다. 글을 .. 2010. 2. 4.
Wikimedia Downloads Wiki 에 있는 문서들을 download 받을수 있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 ㅎㅎ corpus 만들때 사용하면 유용할듯~! 주소 : http://download.wikipedia.com/ 2009. 6. 29.
Linear Algebra 고감자님 블로그 글을 읽다가 선형 대수에 대한 좋은 강의가 있다길래 눈도장겸 기록해 놓는다. http://ocw.snu.ac.kr/course/lecturenotes.php?clgidx=5&deptidx=4&cosidx=23 서울대학교 심형보 교수님의 강의를 학생들이 녹화해서 올린 모양이다. 이 과목을 대학교서 처음 배울때 특정 형태로 만드는 공식만을 외울뿐 변환했을때 이녀석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을 못들은거 같아 멍하게 시간을 때우다 만 것 같다. 이 강의를 들으면 의문점들이 채워질수 있을까? ㅎㅎ 한번 달려보자. 2009. 5. 12.
Hash table 프로그래밍 뿐만 아니라 인생의 진리인 즉슨, 범용적인 것은 특정 부분에서 약하기 마련이라는 것. 해쉬와 관련해서 속도관련 고민해보다가 문득 실험정신이 든다. 주말에 한번 종류별 테스트를 해볼까나... 위키에 Hash 에 대한 설명이 잘 나와있다. ( http://en.wikipedia.org/wiki/Hash_table ) 요기는 속도에 관해 비교해 놓은 것인데 참고가 될 만 하다. ( http://attractivechaos.wordpress.com/2008/08/28/comparison-of-hash-table-libraries/ ) 2009. 4. 14.